밀하우스 마나스톰
GP
밀하우스 마나스톰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71)
    • Cocos Creato.. (35)
    • JavaScript 기.. (11)
    • JavaScript 게.. (4)
    • Dev Tool (1)
    • 1인 개발 (19)
      • 개발 환경 (4)
      • 기능 구현 (2)
      • 게임 리소스 (5)
      • 스팀 게임 출시 (4)
      • 좋은 글 스크랩 (4)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자바스크립트
  • tween
  • 게임 출시
  • Cocos Creator
  • 스팀
  • 코코스 크리에이터
  • 코코스
  • 무료 사운드
  • Sprite Frame
  • 절차
  • steam
  • resolution
  • typescript
  • 타입스크립트
  • 해상도
  • 유니티
  • 게임 등록
  • 웹 게임
  • 배열 함수
  • javascript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밀하우스 마나스톰

GP

프리팹 안에 프리팹
Cocos Creator

프리팹 안에 프리팹

2022. 4. 13. 17:25

코코스 크리에이터에서도 프리팹을 씬에 배치했을 때

 

유니티의 Select, Revert, Apply에 대응하는 Select, Go Back, Save 버튼이 있다.

 

  • Select : assets 폴더에서 프리팹의 위치로 이동
  • Go Back : 씬에 배치된 프리팹의 내용을 원본 프리팹의의 내용으로 덮어쓰기
  • Save : 씬에 배치된 프리팹의 내용을 원본 프리팹에 저장

 

하지만 A 프리팹 안에 B 프리팹을 배치한 구조에서는 B 프리팹의 Go Back, Save 기능이 사라진다.

 

B 프리팹을 수정하면 A 프리팹을 열어서 기존 B 프리팹을 삭제하고 새 B 프리팹을 다시 배치해야 된다.

 

이러한 불편함은 왼쪽의 파란색 클립 모양을 눌러 해결할 수 있다.

 

 

이걸 누르면 해당 B 프리팹은 auto-syncable 프리팹이 되고, 색깔도 녹색이 된다.

 

이렇게 설정을 하면 외부에서 B 프리팹을 수정해도 A 프리팹에 자동으로 수정 내용이 적용된다.

 

 

문제는 auto-syncable 프리팹 내의 노드를 스크립트의 property로 캐싱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In the editor, the component outside the auto-syncable prefab can only reference to that prefab's root node itself, but not its components or children."

 

 

오류 내용에서 설명하듯, auto-syncable 내의 자식 노드는 프로퍼티로 참조할 수 없지만 root 노드는 참조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root 노드를 캐싱한 뒤에, 그 안의 자식 노드는 스크립트에서 코드로 접근해야 한다.

 

한 프리팹 내에서 부분적으로 auto-syncable 설정하는 방법은 없다.

'Cocos Creat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 해상도를 PC에서 확인하는 방법  (0) 2022.10.14
Label Update  (0) 2022.07.28
오브젝트 풀링 (Ojbect Pooling)  (0) 2022.04.07
Layout Update  (0) 2022.04.06
좌표계 (월드 스페이스와 로컬 스페이스)  (0) 2022.04.06
    'Cocos Creat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모바일 해상도를 PC에서 확인하는 방법
    • Label Update
    • 오브젝트 풀링 (Ojbect Pooling)
    • Layout Update
    밀하우스 마나스톰
    밀하우스 마나스톰

    티스토리툴바